목차

    • 문자열의 구조는 리스트와 유사
      • 문자열 추출 대괄호 [index_slicing]를 사용
      • 문자열 결합은 '+' 기호를 사용
      • 문자열 바꾸기는 바꿀 문자열을 찾아낸 다음에 대체 함수(replace) 사용
        • 'xxxxyyxx'의 문자열에서 yy를 zz으로 바꾸기 위한 예시 'xxxxyyxx'.replace('y','z')
    • 문자열 특징
      • 문자열 String 문자의 연속이고 리스트의 특징
      • 문자열 찾기 메소드 find('찾을 문자') 결과값은 문자의 위치정보, 없을경우 -1을 출력
      • 문자열 바꾸기 메소드 replace(' 바꿀 문자', '바뀔 문자')
      • 문자열을 특정 문자 기준으로 나누는 메소드 split('기준 문자열')
      • 리스트에 담긴 문자열을 합치는 방법 ' 기준 문자열'. join(문자열 리스트)
      • 대문자 소문자 메소드 upper(), lower()
    • 문자 변환 메소드
      • 지정 문자 삭제하기 ( Default : '공백' )
        • strip([지정문자]) : 모든 [지정문자] 삭제하기
        • rstrip([지정문자]) : 문자열 오른쪽 [지정문자] 삭제하기
        • lstrip([지정문자]) : 문자열 왼쪽 [지정문자] 삭제하기
      • 문자열 정렬하기
        • ljust([길이]) :문자열을 왼쪽으로 정렬 ( [길이] 만큼 길이(메모리)를 잡고 정렬해줌 )
        • rjust([길이]) :문자열을 오른쪽으로 정렬 ( [길이] 만큼 길이(메모리)를 잡고 정렬해줌 )
        • center([길이]) :문자열을 중앙으로 정렬 ( [길이] 만큼 길이(메모리)를 잡고 정렬해줌 )
      • 문자열 채우기
        • zfill([길이]) : "zero fill"을 의미하고, [길이]에 맞춰 문자열의 왼쪽에 0을 채움
      • 문자열 찾기
        • find([지정문자]) : [지정문자]를 왼쪽부터 검색하고, 찾았으면 인덱스 값, 없으면 -1을 반환
        • rfind([지정문자]) : [지정문자]를 오른쪽부터 검색하고, 찾았으면 인덱스 값, 없으면 -1을 반환
        • index([지정문자]) : find와 동일하지만, 못 찾으면 Error을 발생함
        • rindex([지정문자]) : rfind와 동일하지만, 못 찾으면 Error을 발생함
      • 문자열 갯수 세기
        • count([지정문자]) : 문자열에서 [지정문자]를 찾고, [지정문자] 개수를 반환함.
    • 메서드 체이닝 ( Method Chaining )
      • 문자열 메소드를 여러 개를 이어 붙여 연쇄적으로 적용하는 것.
        • ex) 'hi'.rjust(5).upper()
          • 위와 같이 진행하면 [" HI"]와 같은 모양으로 변환된다.
    • 문자열 포멧팅(string Formating)
      • '%[길이]s'% [문자열] : 문자열 안에 있는 %s에 [문자열]을 삽입한다.
      • '%[길이].[자릿수]f'% [실수] : 문자열 안에 있는 %f에 [값]을 삽입한다.
        • 만약 소수점 2번째까지 출력하고 싶다면, '%.2f' % 2.333과 같이 삽입하면 된다.
      • '%[길이]d'% [정수] : 문자열 안에 있는 %f에 [값]을 삽입한다.
      • '{ 별칭 }'.format([별칭]=[지정문자])
        • ' {} {} {} '.format( 값1 , 값2 ,값 3 )
        • ' {별칭1 } {별칭 2} {별칭 3} '.format( 별칭1 = '값1',별칭2 = '값2',별칭3 = '값4' )
      • format 정렬 인덱스 Default : 0
        • '{[인덱스] : > [길이]}'.format( [값] ) : 인덱스부터 길이만큼 길이를 잡고, 왼쪽 정렬
        • '{[인덱스] : < [길이]}'.format( [값] ) : 인덱스부터 길이만큼 길이를 잡고, 오른쪽 정렬
      • format 자릿수 인덱스 Default : 0
        • '{[인덱스] : 0[길이]d}'.format( [값] ) : 정수형 출력 시 길이만큼 잡고 삽입.
        • '{[인덱스] : 0[길이].[자릿수]f}'.format( [값] ) : 실수형 출력 시 길이만큼 잡고 삽입.

     


    수업 들으면서 중구난방식으로 정리를 하였다. 중복이 보이긴 하지만, 다음에 다시 돌아와서 정리를 해야겠다.

     

    각 함수 별 출력까지 하고 싶지만. 그러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패스하겠다( 다음에 글을 쪼개던가 해야겠다.)

    '프로그래밍 및 IT > 파이썬 ( Python 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파이썬(함수)_09  (0) 2021.05.06
    파이썬(파일 입출력)_08  (0) 2021.05.02
    파이썬(반복문)_06  (0) 2021.04.29
    파이썬( 자료형 )_05  (0) 2021.04.29
    파이썬(변수)_04  (0) 2021.04.29

    + Recent posts